전공안내

전공소개


MAJOR INTRODUCTION

공예의 주요 속성 중 하나인 용도와 기능에 주안점을 두어 ‘쓰임이 있는 창작물’로서의 수공예(handicraft)작품에 현대 디자인의 예술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고품격 상품제작에 이를 수 있는 이론 및 실기과정을 교육한다.

공예와 디자인의 융합이 주를 이루고 있는 추세에 발맞추어 그에 상응하는 확고한 정체성을 지닌 크래프트 디자인 교육을 실행하고자 한다. 또한 대량 생산시스템인 현대물류산업의 생산구조 안에서 다품종 소량화 라는 고유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모색과 전통공예기술과 현대 디자인체계와의 접목을 지향하는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본 전공은 도자(Cramic Design)와 섬유(Fabric Design) 두 트랙을 중심으로 교육이 운영되고 있다.
도자디자인은 이론연구와 창의적 작품제작능력을 탐구함으로써 이론과 실재를 겸비한 글로벌 역량을 갖춘 예술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도자예술에 대한 전반적 이해, 도자매체의 다면적 특성연구, 디지털 매체에 대한 이해와 훈련 등을 교육한다.
섬유디자인은 전통을 기반으로 현대를 아우르는 섬유공예, 섬유 디자인분야의 실기교육을 통해 창조적 역량을 갖춘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섬유 표현기법은 물론 컴퓨터직물, 섬유프린팅, 디지털 섬유디자인 등 섬유 디자인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인력을 위한 교육을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degree program is to provide practical and theoretical bases for highly qualitied products through giving artistic value of contemporary design to Handicraft work. This program helps the students to adopt the knowledge on craft history and theory of East-West, and cultivate creative ability to manufacture the products on the basis of ceramic arts and textile arts.

  1. 01 Classic-Modern craft theory and history of Korea and West
  2. 02 Drawing and depiction for high-sensitive craft design
  3. 03 Creative thinking training for free design between material properties with ceramics and fabric design
  4. 04 Individual instructions to strengthen the competition between female craftsmen (Embroidery, Weaving, Felt, mold making technique)
  5. 05 Convergence Craft Ornaments design workshop
  6. 06 Study on 3D works and installation works within the architectural space
  7. 07 Participating International seminar and workshop to strengthen global competitiveness
  8. 08 Seminar for presenting the graduation work, Graduation exhibition and Research Essay

EDUCATION OBJECTIVE

  1. 01 수공예의 가치와 디자인이 통합된 후기 산업사회에 필요한 새로운 교육 모델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국내외 대학의 사례를 분석하고 해외 선진 각국의 대학 교과과정에서 공예와 디자인의 통합학과가 주를 이루고 있는 추세에 발맞추어 그에 상응하는 확고한 정체성을 지닌 크래프트 디자인 교육을 실행하고자 한다.
  2. 02 대량생산시스템인 현대 물류산업 생산구조에서 다품종 소량화로의 전환으로 인해 전통공예 기술과 현대디자인 체계와의 접목을 통한 새로운 방향의 모색과 이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3. 03 창업에 대한 수요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전공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공예와 디자인의 접목을 통한 이상적이고 효율적인 창업교육 시스템을 구축한다.
  4. 04 공예와 디자인에 관한 미학적 가치 탐색과 실기과정 을 비즈니스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로 특화시킨다.
  1. 01 It is to provide craft design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order to fulfill the needs of handicraft and improve the value of craft and design in mass producing industrial times.
  2. 02 It is to train professionals in this field and seek new ways due to turn of mass manufacturing modern distribution industry system into multiproducts with small quantity by grafting the traditional craft techniques and modern design system.
  3. 03 It is to establish ideal and effective business start-up education system through grafting craft and design at the point where the necessity of this major with the expectation in business start-up demand is rising.
  4. 04 It is to specialize the craft and design with business opportunity based on the search of aesthetic value and practice of craft and design.